본문 바로가기
건강정보

복통, 오심(구토할 것 같은 증상), 변이 안나올 때 증상일 경우

by 똑생보 2025. 2. 11.
반응형

 

이 증상 자체만으로 어떤 병이다! 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.

다만, 배가 아프고, 속이 안 좋고, 토할 것 같은데 막상 화장실에 가도 나오지 않고 속이 불편한 증상은 여러 가지 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.

 

1. 가장 흔한 가능성:

  • 급성 위장염: 바이러스, 세균, 기생충 감염 또는 상한 음식 섭취 등으로 인해 위와 장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입니다. 복통, 메스꺼움, 구토, 설사 등이 주된 증상이며, 화장실에 가도 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.
  • 기능성 소화불량: 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소화불량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입니다. 복부 팽만감, 조기 포만감, 메스꺼움, 속 쓰림, 트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, 변비나 설사가 동반되기도 합니다.
  • 과민성 대장 증후군: 만성적인 복통, 복부 팽만감, 배변 습관의 변화 (변비, 설사 또는 변비와 설사의 반복) 등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. 스트레스, 특정 음식 섭취 등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
2. 기타 가능성:

  • 변비: 대변이 장 내에 오래 머물러 딱딱하게 굳어 배출이 어려운 상태입니다. 복통, 복부 팽만감,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• 장폐색: 장의 일부가 막혀 음식물, 소화액, 가스 등이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. 심한 복통, 구토, 복부 팽만감 등이 나타나며, 응급 상황일 수 있습니다.
  • 맹장염 (충수돌기염): 맹장 끝에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 초기에는 명치 부위나 배꼽 주변의 통증으로 시작하여 점차 오른쪽 아랫배로 통증이 이동하며, 메스꺼움, 구토, 발열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  •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 궤양: 위나 십이지장에 궤양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 속 쓰림, 명치 통증, 메스꺼움, 구토,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, 출혈이 있는 경우 검은색 변을 볼 수도 있습니다.
  • 담낭염 또는 담석증: 담낭(쓸개)에 염증이 생기거나 담석(돌)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 오른쪽 윗배 통증, 발열, 오한, 메스꺼움,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• 췌장염: 췌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 심한 복통, 등 통증, 메스꺼움, 구토,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• 임신 초기: 임신 초기에는 입덧으로 인해 메스꺼움, 구토,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3. 주의해야 할 점:

  • 심한 복통: 참을 수 없을 정도의 심한 복통이 지속되거나, 복통과 함께 고열, 오한, 혈변, 심한 구토, 의식 변화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.
  • 만성적인 증상: 증상이 수일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.

4. 권장 사항:

  • 가까운 병원 (내과 또는 가정의학과) 방문: 정확한 진단을 위해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  • 증상 자세히 설명: 의사에게 증상의 시작 시점, 통증의 위치와 정도, 동반 증상, 식사 여부, 복용 중인 약, 최근 여행력 등을 자세히 설명하세요.
  • 자가 진단 및 자가 치료 지양: 인터넷 정보에 의존하여 스스로 진단하거나 임의로 약을 복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.

5. 병원 방문 전까지 할 수 있는 일:

  • 안정: 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세요.
  • 수분 섭취: 탈수 예방을 위해 미지근한 물이나 이온 음료를 조금씩 자주 마시세요. (단, 억지로 마시지는 마세요.)
  • 금식 또는 부드러운 음식 섭취: 속이 많이 불편하면 금식하고, 괜찮아지면 미음, 죽 등 부드러운 음식부터 조금씩 섭취하세요.
  • 복부 따뜻하게: 따뜻한 물수건이나 핫팩 등으로 복부를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(단, 맹장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찜질을 피하세요.)

다시 한번 강조하지만,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.

반응형